『누리와 말씀』 원고 작성 규정
I. 원고의 분량
투고 논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최소 120매에서 200매까지를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편집위원회는 기본분량을 초과하는 투고를 허용할 수 있다. 투고 논문은 한글과 컴퓨터사의 워드프로세서(한글프로그램)를 사용하여, 기본 설정(글자크기 10, 줄간격 160)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II. 논문의 양식
논문은 표제지, 본문, 참고문헌, 한글초록, 주제어, Abstract(외국어초록), Key Words(외국어주제어)로 구성된다.
1. 표제지
표제지는 ① 제목(한글, 영문); ② 저자이름(한글, 영문); ③ 소속기관, 전공분야; ④ 투고자의 연락처(주소, 전화, e-mail 주소) 등을 적는다.
2. 본문
2.1. 본문제목의 번호 부여
논문의 내용과 구성이 명료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단계의 번호를 부여한다.
1단계 : Ⅰ. / Ⅱ. / Ⅲ. / …
2단계 : 1.1. / 1.2. / 1.3. / …
3단계 : 1.1.1. / 1.1.2. / 1.1.3. / …
4단계 : 가. / 나. / 다. / …
5단계 : 1) / 2) / 3) / …
2.2. 본문작성 원칙
① 본문작성은 한글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단, 외국인 또는 해외연구자의 경우와 논문의 특성상 필요한 경우 외국어로 논문을 작성할 수 있다.
② 본문에 인용되는 저술의 인용문 및 재인용문은 반드시 각주에 그 출처와 원처를 밝힌다.
③ 한문과 외국어는 외래어 한글발음으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원어를 밝혀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동일한 용어가 재차 반복될 경우에는 처음만 이 원칙을 적용하고 두 번째부터는 한글표기만 한다.
④ 인용할 경우 인용자가 임의로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 중략 부분을 “[...]”로 표기한다.
⑤ 성서의 책명은 한국천주교 주교협의회에서 발간한『성경』의 약어로 표기하며, 성서구절의 장과 절은 붙여 쓴다. 예) 2코린 2,10.12; 3,12; 마태 12,1
⑥ 본문에서 강조할 부분은 작은 따옴표(‘ ’), 다른 문헌에서 직접 인용한 부분은 큰 따옴표(“ ”)를 사용한다.
3. 초록(한글, 외국어)과 주제어(한글, 외국어)
3.1. 초록 (한글, 외국어)
① 초록의 분량은 한글과 외국어 각각 원고지 5-7매 정도를 원칙으로 한다.
② 외국어초록의 경우 영문초록을 원칙으로 하되 이태리어, 독어, 불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외국어로 논문을 작성할 경우는 국문초록을 첨부해야 한다.
3.2. 주제어 (한글, 외국어)
① 한글초록과 외국어초록 다음에 각각 3-5개의 주제어를 한글과 외국어로 반드시 기재한다.
② 외국어주제어는 영문주제어를 원칙으로 하되 이태리어, 독어, 불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II. 각주의 표기
논문작성에 있어서 주는 각주를 원칙으로 한다. 인용문과 재인용문의 출처와 원출처 외에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 또한 각주로 작성할 수 있다.
1. 단행본
1.1. 한글문헌
· 한글문헌 단행본의 저서명은『 』로 표기한다.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명,『저서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인용한 쪽수.
① 단일저자의 경우
예) 오경환,『종교사회학』, 서광사 1990, 120.
예) 참조: 이찬우,『아름다운 혼인 행복한 가정』, 성바오로 2004, 50.
② 2인 저자의 경우: 2인의 저자명을 모두 기재한다.
예) 정의채-김규영,『중세철학사』, 지학사 1977, 92.
③ 3인 이상 저자의 경우: 첫 저자명과 ‘외’를 기입한다.
예) 김태길 외,『현대사회와 윤리』, 박영사 1989, 12-15.
④ 부제가 붙을 경우: 저서명 안에 콜론(:)으로 부제를 표시한다.
예) 이석재,『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활동에 관한 연구: 19-20세기 만주지역 천주교회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 2006, 50.
예) 신교선,『서간에 담긴 보화: 신약성서 서간 해설서』, 생활성서사 2005, 50.
⑤ 판차가 다른 경우: 출판연도 앞에 위첨자로 판수를 표시한다.
예) 정의채,『형이상학』, 성바오로 ³1997, 50.
⑥ 총서인 경우: 서명 다음에 총서명과 권수를 표시한다.
예) 조동일,『정치학원론』, 한국문화연구총서 14,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12.
⑦ 편저자: 편저자명 뒤에 ‘(편)’이라고 기재한다.
예) 김현태(편),『중세철학사: 그리스도교 사상의 기원과 발전』, 인가대총서 2, 인천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4, 12-15.
⑧ 단, 편저 안에 실린 논문의 저자가 편저자와 다를 경우 “학위논문 및 모음집(편저) 안의 단편논문”(아래 4.1. 참조)의 표기방식을 따른다.
1.2. 서양문헌
· 서양문헌 단행본의 저서명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 각주에서 저자명은 이름과 성의 순서로 표기하고 참고문헌에서는 역순(성과 이름)으로 표기한다.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명, 출판도시명 출판연도, 인용한 쪽수.
! 단, 언어권의 관례상 출판사명을 생략할 수 있다.
! 출판도시가 여러 곳일 경우 도시이름 사이를 ‘-’로 구분한다.
① 단일저자:
예) P. F. Strawson, Bounds of Sense, Methuen, London 1966, 123.
예) R. Carnap,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hysics, Basic Books, New York-London 1966, 101-103.
예) Cf. D. Henrich, Fichtes ursprungliche Einsicht, Frankfurt a.M. 1967, 120-135.
예) Y. Congar, Esquisses du Mystere de l'Eglise, Paris 1941, 12.
② 2인 저자:
예) K. Lehmann-J. Ratzinger, Mit der Kirche leben, Freiburg i.Br.-Basel-Wien 1977, 123.
③ 3인 이상 저자: 첫 저자명 뒤에 et al.(또는 각 언어권에 따른 해당 약어)을 표기한다.
예) S. M. Sundstrom, et al., Black Women in Swede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90, 291-303.
④ 부제가 붙을 경우: 저서명 안에 콜론(:)으로 부제를 표시한다.
예) Cf. J. F. Haught, Science and Religion: From Conflict to Conversation, Paulist Press, New York 1995, 142-161.
예) H. Holz, Transzendentalphilosophie und Metaphysik: Studie uber Tendenzen in der heutigen philosophischen Grundlagenproblematik, Mainz 1966, 123.
⑤ 판차가 다른 경우: 출판연도 앞에 위첨자로 판수를 표시한다.
예) W. Kasper, Der Gott Jesu Christi, Mainz ²1997, 50.
예) N. K. Smith, A Commentary to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Macmillan, London ²1923, 50.
⑥ 총서인 경우: 저서명 다음에 총서명과 권수를 표시한다(단, 총서명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약어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탤릭체로 표기하되 그 앞에 “in:” 표시를 한다).
예) J. Ostrow, Social Sensitivity, in: SUNY Series 8, MIT Press 1990, 18-20.
예) Cf. K. Rahner, Zur Reform des Theologiestudiums, in: QD 41, Freiburg i.Br.-Basel-Wien 1969, 123.
⑦ 편저자의 경우: 편저자명 뒤에 ‘(ed. 또는 각 언어권에 따른 해당 약어)’를 표기한다.
예) A. Plantinga(ed.), The Ontological Argument, Macmillan, London 1968, 12.
예) L. Honnefelder-M. L. Bachmann(Hg.), Auslegungen des Glaubens: Zur Hermeneutik christlicher Existenz, Berlin-Hildesheim 1987, 65-67.
⑧ 단, 편저 안에 실린 논문의 저자가 편저자와 다를 경우 “학위논문 및 모음집 (편저) 안의 단편논문”(아래 4.2. 참조)의 표기방식을 따른다.
2. 번역서
2.1. 한글문헌
· 역자명 뒤에 ‘(역)’이라고 표기한다.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편자)명,『저서명』, 총서명 권수, 역자명, 출판사명 출판연도, 인용한 쪽수.
예) E. 클리어리,『중남미 교회의 위기와 변화』, 오경환(역), 가톨릭출판사 1988, 120.
예) 참조: G. 그레사케 외,『현대신학동향: 워크숍』, 신학총서 24, 김윤주 외(역), 분도출판사 1984, 125-130.
예) O. 푀겔러(편),『해석학의 철학』, 박순영(역), 서광사 1993, 125.
2.2. 서양문헌
· 역자명 뒤에 ‘(trans. 또는 각 언어권에 따른 해당 약어)’를 표기한다.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명, 저서명, 역자명, 출판사명, 출판도시명 출판연도, 인용한 쪽수.
예) G. Frege, Foundations of Arithmetic, J.L.Austin(trans.), Blackwell, Oxford 1950, 123.
예) E. Levinas, Humanismus des anderen Menschen, L.Wenzler(bers.), Hamburg 1989, 123.
3. 학술지 및 정기간행물
3.1. 한글문헌
· 정기간행물에 게재된 논문의 제목은 (“ ”) 안에, 정기간행물의 이름은『 』안에 표기한다.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명, “논문제목”,『잡지명』 호수(출판연도/계절 또는 월), 인용한 쪽수.
예) 홍범기, “하느님 신비와 계시된 하느님”,『누리와 말씀』 24(2008/12), 129.
3.2. 서양문헌
· 정기간행물에 게재된 논문의 제목은 따옴표(" ") 안에 표기하고, 정기간행물의 이름은 이탤릭체로 표기하되 그 앞에 “in:” 표시를 한다.
· 정기간행물의 이름(잡지명)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약어로 표기할 수 있다.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명, "논문제목", in: 잡지명 호수(출판년도/계절 또는 월), 인용한 쪽수.
예) P. C. Phan, "Jesus the Christ with an Asian Face", in: Theological Studies 57(1996/9), 399.
예) H. Verweyen, "Kirche und Staat in der Philosophie J. G. Fichte", in: Philosophisches Jahrbuch 81(1974), 298.
또는,
H. Verweyen, "Kirche und Staat in der Philosophie J. G. Fichte", in: PhJ 81(1974), 298.
예) J. Ratzinger, "Identifikation mit der Kirche", in: IKaZ 15(1986), 43.
4. 학위논문 및 모음집(편저) 안의 단편논문
4.1. 한글문헌
① 박사학위논문
예) 홍석영,『현상학적 윤리학의 인격론에 관한 연구: 막스 쉘러의 인격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1991, 120.
② 모음집(편저) 안에 수록된 단편논문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명, “논문제목”,『모음집명』, 편저자명, 출판사명, 출판연도, 쪽수.
예) 백종현, “칸트: 현상의 존재론”,『칸트와 형이상학』, 한국칸트학회(편), 민음사, 1995, 100.
예) 한자경,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존재이해”,『해석학과 현대철학』, 계명대 학교철학연구소(편), 철학과현실사 1996, 100.
예) W. 슈텍뮐러,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하이데거철학에의 안내』, 이기상(편), 서광사, 1993, 120.
③ 사전류
· 표기내용과 순서: 저자명, “용어명”,『사전명』권수, 편저자명, 출판사명 출판연도, 인용한 쪽수.
예) 박종대, “그리스도교 철학”,『한국가톨릭대사전』2,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편), 한국교회사연구소 ²1996, 991-998.
4.2. 서양문헌
· 편저 또는 기타 모음집 안에 수록된 개별논문의 제목은 따옴표(" ") 안에 표기하고, 편저와 모음집의 이름은 이탤릭체로 표기하되 그 앞에 “in:” 표시를 한다.
· 사전류의 경우도 위와 동일하게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 사전류와 기타 모음집의 이름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약어로 표기할 수 있다.
· 표기내용과 순서: 논문저자명, "논문제목", in: 편저 내지 모음집의 이름, 권수, 편저자명, 출판사명, 출판도시명 출판연도, 인용한 쪽수.
예) V. Plumwood, "Nature, Self, and Gender: Feminism,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the Critique of Rationalism", in: Ecological Feminist Philosophies, K.J.Warren(ed.),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1996, 156.
예) R. Lauth, "Die grundlegende transzendentale Position Fichtes", in: Der transzendentale Gedanke: Die gegenwartige Darstellung der Philosophie Fichtes, K. Hammacher(Hg.), Hamburg 1981, 19.
예) K. Lehmann, "Transzendentalphilosophie", in: Lexikon fur Theologie und Kirche, Bd. 10, J. Hofer-K. Rahner(Hg.), Freiburg i.Br. ²1965, 315.
또는,
K. Lehmann, "Transzendentalphilosophie", in: LThK X(²1965), 315.
5. 교회문헌
예)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종교 자유에 관한 선언』, 7항.
예) 교황 바오로 6세 회칙, 『신앙의 신비』, 46항.
6. 기타 지침
본문에 인용된 문헌의 출처를 독자가 각주 안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각주사용을 권장한다.
① 논문에서 처음으로 인용될 경우 출처문헌에 대한 정보를 앞에서 제시한 표기내용과 순서에 따라 전체적으로 명시한다.
예) 참조: 김현태,『철학과 신의 존재』, 철학과현실사 2003, 125-130.
예) 참조: 김흥주, “영성신학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누리와 말씀』23(2008/6), 153.
예) R. Carnap,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hysics, Basic Books, New York 1966, 123.
예) J. Ratzinger, "Identifikation mit der Kirche", in: IKaZ 15(1986), 43.
② 동일한 문헌이 재인용될 경우: 저자, 서명, 인용한 쪽수를 명시한다.
예) 김현태,『철학과 신의 존재』, 123.
예) 김흥주, “영성신학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154.
예) R. Carnap,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hysics, 124.
예) J. Ratzinger, "Identifikation mit der Kirche", 45.
③ 두 개 이상의 글(또는 책)을 인용할 때에는 둘 사이를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작품과 작품 사이를 구분한다.
예) 정의채,『형이상학』, 50; 김현태,『철학과 신의 존재』, 123.
④ 직접인용이 아닌 참조의 경우, 한글문헌은 서지사항 맨 앞에 “참조:”라고 표기하고, 서양문헌은 서지사항 맨 앞에 “Cf.”라고 표기한다.
⑤ 국내출판사의 이름은 모두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⑥ 이 지침에 서술되지 않은 다른 사항은 일반적 논문작성요령에 따른다. 그밖에 고전 및 원전의 인용은 해당 전문분야의 인용관례에 준한다.
IV. 참고문헌의 표기
1. 참고문헌에는 본문에 인용하거나 참조한 문헌만 수록한다.
2. 참고문헌의 배열
① 참고문헌의 배열순서는 한글문헌과 외국문헌의 순으로 한다.
② 한글문헌의 경우 저자의 이름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외국문헌의 경우 저자의 성에 따라 알파벳순으로 제시한다.
③ 동일한 저자의 책이 여러 권 있을 경우 연대순으로 배열하고, 저자의 두 번째 책부터는 저자명을 생략하고 “_”와 같이 표기한다.
예) 김현태,『둔스 스코투스의 철학 사상』, 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4.
______,『철학과 신의 존재』, 철학과현실사 2003.
______,『철학과 그리스도교 문화 탐색』, 철학과현실사 2005.
3. 참고문헌의 표기내용과 표기방법
① 한글 저서명(단행본)은 『 』로, 한글 논문명은 “ ”로 표기한다. 서양 저서명(단행본)은 이탤릭체로, 서양 논문명은 " "로 표기한다.
② 참고문헌의 서지사항은 다음과 같다.
단행본: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명, 출판도시명(한글문헌의 경우 생략) 출판연도.
정기간행물(논문): 저자명, 논문제목, 잡지명 호수 및 연도, 논문의 전체 페이지 수.
! 서지사항의 기본적 표기방법은 각주의 표기방법과 동일하다.
예) 오경환,『종교사회학』, 서광사 1990.
예) Strawson P. F., Bounds of Sense, Methuen, London 1966.
예) 홍범기, “하느님 신비와 계시된 하느님”,『누리와 말씀』 24(2008/12), 102-136.
예) Brown R. E., "Roles of Women in the Fourth Gospel", in: Theological Studies 36(1975), 688-699.
③ 저자가 2인일 경우, 한글문헌과 서양문헌 모두 저자의 성명 사이에 하이픈(-)을 사용하여 저자를 구분해 표기한다. 저자가 3인 이상일 경우 한글문헌은 ‘외’로, 서양문헌은 ‘et al’ (또는 각 언어권에 따른 해당 약어)로 표기한다.
예) 정의채-김규영,『중세철학사』, 지학사 1977.
예) 김태길 외,『현대사회와 윤리』, 박영사 1989.
예) Sundstrom S. M. et al., Black Women in Swede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90.
④ 편저의 경우 편저자의 이름 뒤에 ‘(편)’(한글문헌의 경우) 또는 ‘(ed. 또는 각 언어권에 따른 해당 약어)’(서양문헌의 경우)를 표기한다.
예) 김현태(편),『중세철학사: 그리스도교 사상의 기원과 발전』, 인가대총서 2, 인천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4.
예) Plantinga A.(ed.), The Ontological Argument, Macmillan, London 1968.
! 단, 편저 안에 실린 논문의 저자가 편저자와 다를 경우, 인용한 논문을 정확히 밝히고 그 논문의 전체 쪽수를 기입하여야 한다. 이때 표기방식은 “학위논문 및 모음집(편저) 안의 단편논문”(위 Ⅲ. 4. 참조)의 표기방식을 따른다.
예) 한자경,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존재이해”,『해석학과 현대철학』, 계명대학교철학연구소(편), 철학과현실사 1996, 97-107.
예) Teuwsen, R., "Erkenntnislehre", in: Philosophische Propadeutik 1, Honnefelder L.-Krieger, G.(Hg.), Paderborn-Munchen-Wien-Z rich 1994, 118-182.
⑤ 고전문헌이나 그 밖의 다른 문헌들의 참고문헌 표기는 관련분야에서 관례로 간주되는 방식을 따른다.